맨위로가기

덴쇼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쇼는 1573년부터 1592년까지 사용된 일본의 연호로,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해당한다.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교토에서 추방한 후 개원되었으며, 노자의 도덕경 구절에서 유래했다. 덴쇼 연간에는 오다 노부나가의 통치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권력 장악, 임진왜란 발발 등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센고쿠 시대 - 교토
    교토는 혼슈 중앙부에 위치하며 약 천 년간 일본의 수도였던 도시로, 헤이안쿄로 설계되어 전란과 화재를 겪었으나 복구 노력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에도 시대에는 문화와 상공업의 중심지로, 오늘날에는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번영하며 수많은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센고쿠 시대 - 오와리국
    오와리국은 현재 아이치현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일본 고대의 령제국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야마토 씨족과 관련된 오와리 씨족의 거점이었고, 나라 시대에는 율령제에 따라 통치되었으며 아쓰타 신사는 중요한 신사였고, 센고쿠 시대에는 오다 씨가 지배했으며, 에도 시대에는 오와리 번이 세워졌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아이치현에 편입되었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다카마쓰성 (가가와현)
    다카마쓰성은 가가와현 다카마쓰시에 위치한 윤곽식 평성 해성으로, 에도 시대 다카마쓰번의 번청이었으며 일본 3대 수성 중 하나이고, 이코마 지카마사에 의해 축성 시작, 마쓰다이라 요리시게에 의해 수리, 현재는 다마모 공원으로 정비되어 일부 건물이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천수각 복원 사업이 추진 중이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교토
    교토는 혼슈 중앙부에 위치하며 약 천 년간 일본의 수도였던 도시로, 헤이안쿄로 설계되어 전란과 화재를 겪었으나 복구 노력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에도 시대에는 문화와 상공업의 중심지로, 오늘날에는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번영하며 수많은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일본의 연호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는 1912년부터 1926년까지 일본의 연호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이사국 진출, 국내 사회 변화, 민주주의 사상 발전 등을 특징으로 하며, 1920년대 후반 세계 경제 불황의 영향을 받았다.
  • 일본의 연호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1926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일본의 연호로, 히로히토 천황의 치세 동안 일본 제국의 군국주의, 태평양 전쟁, 패전 후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겪었으며, 쇼와 천황의 사망으로 헤이세이 시대로 전환되었다.
덴쇼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개요
시대아즈치모모야마 시대
기간1573년 ~ 1592년
이전겐키
다음분로쿠
천황
재위오기마치 천황 (1573년 ~ 1586년)
재위고요제이 천황 (1586년 ~ 1592년)

2. 연혁

겐키 4년(1573년 8월 25일, 율리우스력) 오다 노부나가가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교토에서 추방한 후, 구교와 조정을 통해 전란과 천재지변을 이유로 개원을 요구하여 덴쇼(天正)로 연호가 변경되었다.[3]

새 연호 '덴쇼'는 중국 고전 노자도덕경 구절 "자연과 평화를 이루는 자는 천하를 올바른 패턴으로 이끈다"(清静者為'''天'''下'''正''')에서 따온 것이다.[4] 이는 오다 노부나가가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 개원 당시 조정은 노부나가에게 감문을 보여주고 그의 의향에 따라 '덴쇼'로 연호를 정했다.[6] 덴쇼 20년(1593년 1월 10일, 그레고리력) 분로쿠로 개원되었다.[3]



1582년 유럽에서는 가톨릭 교회 주도로 율리우스력에서 그레고리오력으로 개력이 이루어졌다.[4] 근대 이전 일본 달력의 날짜를 서력으로 환산할 때 이 점을 고려해야 한다.[4]

날짜 대응표
일본의 역법
(선명력)
서력
율리우스력
(구력)
그레고리오력
(신력)
덴쇼 10년 9월 18일1582년 10월 4일 (목요일)
덴쇼 10년 9월 19일1582년 10월 5일 (금요일)1582년 10월 15일 (금요일)
덴쇼 10년 9월 20일1582년 10월 6일 (토요일)1582년 10월 16일 (토요일)


2. 1. 개원(改元)

겐키 4년(1573년 8월 25일, 율리우스력) 전란과 천재지변을 이유로 개원하였다.[3] 오다 노부나가가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교토에서 추방한 후, 구교와 조정을 통해 개원을 요구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방식의 개원은 조정의 권위를 업신여기는 행동으로, 이후 혼노지 사건의 한 원인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3]

새 연호 '덴쇼(天正)'는 여러 지역의 전쟁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중국 고전 노자도덕경 구절에서 영감을 얻었다. "자연과 평화를 이루는 자는 천하를 올바른 패턴으로 이끈다"(清静者為'''天'''下'''正''')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4] 이 연호는 오다 노부나가가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하지만, 조정에서는 이미 1년 이상 전부터 개원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오유도노우에 일기 겐키 3년 3월 29일조에는 개원 발의를 알리는 사자가 노부나가와 요시아키에게 파견된 기록이 있다. 겐키 3년 4월 20일조에는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개원 비용 출자를 거부했다는 기록도 있다. 겐키 3년 9월, 노부나가가 요시아키를 비난하기 위해 작성한 이견 17개조에서도 개원 문제가 비판 대상이 되었다. 연호 감문(勘文)은 이미 겐키 3년 11월 11일에 작성되었다.[6]

개원 당시 조정은 노부나가에게 감문을 보여주고 그의 의향에 따라 '덴쇼'로 연호를 정했다. 이는 노부나가가 무가 정권의 수장으로서 개원에 관여한 사실을 보여주며, 오다 정권의 시작을 상징하는 사건이었다. 그러나 개원 실시일이나 연호 선정 작업에 노부나가가 직접 관여했다는 사실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조정의 의향을 존중하는 형식을 취했다.[6]

덴쇼 20년(1593년 1월 10일, 그레고리력) 분로쿠로 개원되었다.[3]

2. 2. 연호와 관련된 논란

겐키 4년(1573년 8월 25일) 전란과 천재지변을 이유로 개원하였다.[1] 덴쇼 20년 12월 8일 분로쿠로 개원하기 전까지 사용되었다.[2]

오다 노부나가는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교토에서 추방한 뒤, 구교와 조정에 개원을 요구하여 덴쇼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이러한 개원 과정은 조정의 권위를 업신여기는 행동으로, 혼노지 사건의 한 가지 원인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3]

새로운 연호 덴쇼는 여러 지역 전쟁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중국 고전 노자의 ''도덕경'' 구절에서 영감을 얻었다. "자연과 평화를 이루는 자는 천하를 올바른 패턴으로 이끈다"(清静者為'''天'''下'''正''')는 구절을 인용하여, 덴쇼(天正)라는 연호가 오다 노부나가에 의해 제안되었다.[4]

2. 3. 서력(西曆)과의 관계



1582년, 유럽에서는 가톨릭 교회 주도로 율리우스력에서 그레고리오력으로 개력이 이루어졌다.[4] 근대 이전 일본 달력의 날짜를 서력으로 환산할 때 이 점을 고려해야 한다.[4] 그레고리오력 도입 상황은 국가마다 달랐는데, 가톨릭 국가에서는 빨랐고, 개신교 국가나 독자적 국교를 가진 국가에서는 늦었다.[4]

그레고리오력 실시가 가장 빨랐던 국가에서는 율리우스력 1582년 10월 4일(목요일) 다음 날을 그레고리오력 1582년 10월 15일(금요일)로 하였다.[4]

날짜 대응표
일본의 역법
(선명력)
서력
율리우스력
(구력)
그레고리오력
(신력)
덴쇼 10년 9월 18일1582년 10월 4일 (목요일)
덴쇼 10년 9월 19일1582년 10월 5일 (금요일)1582년 10월 15일 (금요일)
덴쇼 10년 9월 20일1582년 10월 6일 (토요일)1582년 10월 16일 (토요일)



일본 달력은 1873년 1월 1일 태양력(그레고리오력)을 채용하기 전까지 서력과 날짜가 어긋났다.[4] 서력 역시 율리우스력에서 그레고리오력으로의 이행이 국가마다 달랐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4]

3. 주요 사건

1573년(덴쇼 원년)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쇼군 지위를 잃고 승려가 되었다.[3]

1574년(덴쇼 2년) 에치젠국나가시마에서 종교 반란이 일어났으나 진압되었다.

1575년(덴쇼 3년) 다케다 가쓰요리나가시노성을 포위 공격하였으나, 오다 노부나가도쿠가와 이에야스 연합군에게 나가시노 전투에서 패배하였다.[4]

1576년(덴쇼 4년) 다케다 가쓰요리가 아사마 신사를 재건하도록 명령하였고, 아즈치성 건설이 시작되었다.[5]

1579년(덴쇼 7년) 아즈치성에서 아즈치 종교 논쟁이 벌어졌고, 아케치 미쓰히데가 탄바국의 지배자가 되었다.[6] 오다 노부카쓰가 덴쇼 이가 전쟁을 일으켰으나 패배했다.

1580년(덴쇼 8년) 가가의 종교 반란이 진압되었다.[6]

1581년(덴쇼 9년) 오다 노부나가가 두 번째 덴쇼 이가 전쟁을 일으켜 승리했다.

1582년(덴쇼 10년) 다케다 가쓰요리오다 노부나가 군대에 의해 완전히 패배하고, 덴모쿠잔 전투가 벌어졌다.[7] 혼노지의 변,[8] 야마자키 전투,[9] 기요스 회의가 있었다. 덴쇼 겐오 시세쓰가 나가사키에서 출발하여 유럽으로 향했다.[1]

1583년(덴쇼 11년) 시즈가타케 전투가 벌어졌다.[12]

1584년(덴쇼 12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가 벌어졌다.[13] 덴쇼 겐오 시세쓰가 리스본에 도착했다.[1]

1585년(덴쇼 13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간파쿠 지위를 받았다.[14]

1586년(덴쇼 14년) 오기마치 천황고요제이 천황에게 양위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다이죠다이진으로 임명되었다.[16] 덴쇼 대지진으로 8,000명이 사망했다.[17]

1587년(덴쇼 15년) ''덴쇼 쓰호''라는 금화 또는 은화가 주조되었다.[1]

1588년(덴쇼 16년) 고요제이 천황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저택을 방문했고, 칼 사냥 령이 내려졌다.

1590년(덴쇼 1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오다와라성을 함락시키고, 호조 우지마사가 사망하면서 오닌의 난 이후 계속되던 내전이 종식되었다.[18]

1592년(덴쇼 20년) 임진왜란부산진 전투로 시작되었다.

3. 1. 오다 노부나가 시대 (1573년 ~ 1582년)

1573년(덴쇼 원년) 8월, 오다 노부나가아사쿠라 요시카게아자이 히사마사를 공격하여 멸망시켰다.[3] 아자이 나가마사 또한 아버지 히사마사에 이어 할복하였다. 12월에는 마쓰나가 히사히데가 노부나가에게 항복하였다.

1574년(덴쇼 2년) 1월, 에치젠에서 잇코 잇키가 발생하여 슈고다이인 마에다 요시쓰구가 사망했다. 9월에는 나가시마 잇코 잇키가 진압되었다.

1575년(덴쇼 3년) 4월, 다케다 가쓰요리가 나가시노 성을 공격하자, 오다 노부나가와 도쿠가와 이에야스 연합군이 나가시노 전투에서 다케다 군을 격파하였다.[4]

1576년(덴쇼 4년) 4월, 다케다 신겐의 장례식이 거행되었다.

1577년(덴쇼 5년) 2월, 오다 노부나가는 사이가슈를 공격하였다. 9월에는 우에스기 겐신이 노토 나나오 성을 공략하고, 데도리가와 전투에서 오다 군에게 대승을 거두었다. 10월에는 마쓰나가 히사히데 부자가 오다 노부나가에게 공격받아 자살하였다. 11월, 오다 노부나가는 우다이진에 취임하였다. 12월에는 하시바 히데요시가 하리마 고즈키 성을 공략하였다.

1578년(덴쇼 6년) 3월, 우에스기 겐신이 사망하였다. 4월, 오다 노부나가는 우다이진과 우타이쇼 직을 사임하였다. 5월에는 오타테의 난이 일어났다. 6월에는 다케다 가쓰요리우에스기 가게카쓰가 화친하였다. 7월에는 아마고 가쓰히사가 모리 군에게 공격받아 자살하였다.

1579년(덴쇼 7년) 5월, 아즈치성덴슈(天主)가 완성되고, 아즈치 슈론이 벌어졌다. 8월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아내 쓰키야마도노를 살해하고, 9월에는 장남 마쓰다이라 노부야스가 자살하였다.

1580년(덴쇼 8년) 1월, 하시바 히데요시가 미키 성을 공격하여 벳쇼 나가하루가 자살하였다(미키 전투). 윤3월에는 오다 노부나가와 혼간지 겐뇨의 화의가 성립되었다. 8월에는 이시야마 혼간지가 불타며 이시야마 전투가 종결되었다. 11월에는 시바타 가쓰이에가 가가 잇코잇키를 진압하였다.

1581년(덴쇼 9년) 2월, 오다 노부나가는 교토에서 교토온우마소로에를 행하였다. 3월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다카텐진 성을 탈환하였다. 4월에는 호리 히데마사가 槙尾寺를 불태웠다. 7월에는 하시바 히데요시가 돗토리 성을 포위하였다.

1582년(덴쇼 10년) 1월, 덴쇼 겐오 소년사절단 4명이 나가사키를 출발하였다. 3월에는 덴모쿠잔 전투에서 다케다씨가 멸망하였다.[7] 4월에는 오다 노부타다가 에린지 절을 불태웠고, 하시바 히데요시가 빗추 다카마쓰 성에서 시미즈 무네하루의 군대와 교전하였다(빗추 다카마쓰 성 전투). 6월에는 혼노지의 변[8]으로 오다 노부나가가 사망하고, 야마자키 전투[9]가 벌어졌다. 기요스 회의에서는 오다 히데노부를 후계자로 결정하였고, 10월에는 다이토쿠지 절에서 오다 노부나가의 장례식이 치러졌다.

3. 2.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 (1582년 ~ 1592년)

1582년 혼노지의 변으로 오다 노부나가가 사망한 뒤, 하시바 히데요시(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권력을 장악하기 시작했다.[8] 야마자키 전투에서 아케치 미쓰히데를 격파하고,[9] 기요스 회의를 통해 오다 가문의 후계 구도를 결정지으며 자신의 입지를 강화했다.[7]

1583년 시즈가타케 전투에서 시바타 가쓰이에를 물리치고,[12] 1584년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고마키·나가쿠테 전투를 벌이는 등, 정권 장악을 위한 행보를 이어갔다.[13]

1585년 히데요시는 간파쿠에 취임하며[14], 명실상부한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1586년에는 오기마치 천황고요제이 천황에게 양위하고,[15] 히데요시는 다이조다이진에 임명되는 등[16] 권위 또한 확고히 했다.

1587년 규슈 정벌을 통해 시마즈 요시히사를 항복시키고,[11]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서 호조 우지나오를 굴복시켜[18] 전국 통일을 완수했다. 이 과정에서 1588년 칼 사냥령을 발포하여 농민들의 무기를 몰수하고 통제를 강화했다.[1]

1591년, 센노 리큐에게 자결을 명하고, 자신의 조카 도요토미 히데쓰구를 간파쿠로 임명했다.[2]

3. 2. 1. 임진왜란 (1592년)

文禄の役일본어이라고도 불리는 임진왜란은 1592년(덴쇼 20년) 4월에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끄는 일본군이 조선의 부산에 상륙하면서 시작되었다.[2] 고니시 유키나가가토 기요마사가 이끄는 일본군은 5월 3일에 조선의 수도 한성에 입성하였고, 6월 15일에는 고니시 유키나가, 구로다 나가마사 등이 평양을 점령하였다.[2]

4. 주요 인물

(덴쇼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주요 인물 섹션은 원본 소스에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문화

구로사와 아키라의 고전 영화 7인의 사무라이의 허구적인 줄거리는 덴쇼 15년에 일어난다.

6. 덴쇼 시대에 태어난 주요 인물

출생년도이름주요 직책 및 활동사망년도
덴쇼 원년스겐인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정실1626년
덴쇼 2년유키 히데야스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차남, 후쿠이번게이초 12년
고히메우키타 히데이에의 정실, 마에다 도시이에의 딸간에이 11년
덴쇼 3년조소카베 모리치카전국 다이묘겐나 원년
혼다 다다마사전국 시대의 무장, 히메지성간에이 8년
덴쇼 4년난부 도시나오전국 시대의 무장, 모리오카번 초대 번주간에이 9년
시마즈 다다쓰네전국 시대 ~ 에도 초기 다이묘간에이 15년
아키타 사네스에전국 시대 ~ 에도 초기 다이묘만지 2년
아사노 유키나가전국 시대의 무장, 기슈번게이초 18년
덴쇼 4년오다 노부타카오다 노부나가의 7남,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게이초 7년
덴쇼 5년모리 가쓰나가전국 시대의 무장, 도요토미 씨의 가신게이초 20년
덴쇼 6년마에다 도시마사전국 시대의 무장, 마에다 도시이에의 차남간에이 10년
덴쇼 7년하치조노미야 도모히토 친왕황족, 하치조노미야가 초대 당주간에이 6년
도쿠가와 히데타다에도 막부 2대 쇼군간에이 9년
가스가노 쓰보네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간에이 20년
덴쇼 8년나베시마 가쓰시게전국 시대의 무장, 사가번 초대 번주메이레키 3년
마쓰다이라 다다요시도쿠가와 이에야스의 4남, 다이묘게이초 12년
오쿠보 다다토모전국 시대의 무장, 도쿠가와 씨의 가신게이초 16년
오다 히데노부전국 시대의 무장, 오다 노부타다의 적남게이초 10년
오쿠다이라 다다마사전국 시대의 무장, 가노번 제2대 번주게이초 19년
고마히메모가미 요시아키의 둘째 딸분로쿠 4년
덴쇼 9년오다 히데노리전국 시대의 무장, 오다 노부타다의 차남간에이 2년
덴쇼 10년고바야카와 히데아키전국 다이묘게이초 7년
미즈노 다다키요에도 초기 다이묘쇼호 4년
덴쇼 11년하야시 라잔에도 초기 유학자메이레키 3년
가모 히데유키 (시종)전국 시대의 무장, 가모 우지사토의 아들게이초 17년
덴쇼 12년와키자카 야스모토에도 초기 다이묘조오 2년
마쓰다이라 사다유키에도 초기 다이묘, 이요마쓰야마 번 초대 번주간분 8년
덴쇼 12년미야모토 무사시검호, 병법가, 서화가
덴쇼 13년마쓰다이라 사다요시전국 시대의 무장게이초 8년
후쿠시마 마사유키전국 시대의 무장, 후쿠시마 마사노리의 양자게이초 13년
덴쇼 14년혼다 다다즈미에노키모토 번 초대 번주간에이 8년
이타쿠라 시게무네에도 초기 후다이 다이묘, 교토 쇼시다이메이레키 2년
덴쇼 15년사카이 다다카쓰에도 초기 다이묘, 로주간분 2년
고이데 요시히데에도 초기 도자마 다이묘, 기시와다 번주, 이즈시 번주간분 6년
덴쇼 16년이타쿠라 시게마사후카미조 번주간에이 15년
나카네 마사모리에도 초기 하타모토,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측근간분 5년
덴쇼 17년쓰루마쓰마루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장남덴쇼 19년
덴쇼 18년이이 나오타카히코네 번주, 이이 나오마사의 차남만지 원년
고이데 요시치카에도 초기 도자마 다이묘, 이즈시 번주, 소노베 번 초대 번주간분 8년
덴쇼 19년다테 히데무네에도 초기 다이묘, 우와지마 번 초대 번주, 다테 마사무네의 장남메이레키 4년
덴쇼 20년마쓰다이라 다다테루도쿠가와 이에야스의 6남덴와 3년


7. 덴쇼 시대에 사망한 주요 인물

사망년도이름출생년도기타
1573년아사쿠라 요시카게덴분 2년센고쿠 다이묘
1573년아사이 히사마사다이에이 6년센고쿠 다이묘
1573년아사이 나가마사덴분 14년센고쿠 다이묘, 오이치의 남편
1574년다케다 노부토라메이오 3년다케다 신겐의 아버지
1575년토리이 스에요몬?오쿠다이라 노부마사의 가신
1575년아마리 노부야스?다케다 가쓰요리의 가신
1575년가와쿠보 노부자네?다케다 신겐의 이복 동생
1575년사에구사 마사사다덴분 6년다케다 가쓰요리의 가신
1575년사나다 노부쓰나덴분 6년다케다 가쓰요리의 가신
1575년사나다 마사테루덴분 11년노부쓰나의 동생
1575년쓰치야 마사쓰구덴분 13년다케다 가쓰요리의 가신
1575년바바 노부하루에이쇼 12년?다케다 가신
1575년하라 마사타네교로쿠 4년다케다 가쓰요리의 가신
1575년나이토 마사히데다이에이 2년다케다 가신
1575년모치즈키 노부나가덴분 20년다케다 가쓰요리의 사촌
1575년야마가타 마사카게교로쿠 2년다케다 가신
1575년마쓰다이라 이타다덴분 6년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부하
1575년난조 무네카쓰메이오 4년?난조 씨 당주
1575년아키야마 도라시게다이에이 7년다케다 가쓰요리의 가신
1576년도요토미 히데카쓰겐키 원년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아들
1577년나오에 가게쓰나에이쇼 6년?우에스기 씨의 가신
1577년마쓰나가 히사히데에이쇼 7년다인
1577년마쓰나가 구미치덴분 12년마쓰나가 히사히데의 아들
1578년우에스기 겐신교로쿠 3년에치고 국의 센고쿠 다이묘
1578년야마나카 유키모리덴분 14년아마고 씨의 가신
1579년야마시나 도키쓰구에이쇼 4년곤 다이나곤
1579년우에스기 노리마사다이에이 3년간토 칸레이,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당주
1579년우에스기 가게토라덴분 22년?우에스기 겐신의 양자
1579년쓰키야마 도노덴분 11년?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정실
1579년마쓰다이라 노부야스에이로쿠 2년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들
1580년벳쇼 나가하루에이로쿠 원년?무장
1580년야마나 유히토요에이쇼 8년센고쿠 다이묘
1581년교고쿠 다카요시에이쇼 5년아시카가 요시테루의 막신
1581년사쿠마 노부모리다이에이 7년오다 노부나가의 가신
1581년깃카와 쓰네이에덴분 16년모리 가문의 가신
1581년사가라 요시하루덴분 13년히고 국의 센고쿠 다이묘
1582년난부 하루마사에이쇼 14년무쓰 국의 센고쿠 다이묘
1582년우키타 나오이에교로쿠 2년센고쿠 다이묘, 우키타 히데이에의 아버지
1582년난부 하루쓰구겐키 원년난부 하루마사의 아들
1582년오야마다 마사시게?시나노 우치야마 성대
1582년오야마다 다이가쿠노스케?마사시게의 동생
1582년다케다 가쓰요리덴분 15년가이 국의 센고쿠 다이묘
1582년다케다 노부카쓰에이로쿠 10년다케다 가쓰요리의 적자
1582년오야마다 노부시게덴분 8년가이 국 쓰루 군의 국인 영주
1582년갓카이 쇼키?린자이 승려
1582년오다 노부나가덴분 3년우다이신・우콘에노다이쇼
1582년모리 나리토시에이로쿠 8년오다 노부나가의 코쇼
1582년오다 노부타다고지 3년오다 노부나가의 적자
1582년아나야마 노부키미덴분 10년가이 다케다 씨의 일족
1582년아케치 미쓰히데교로쿠 원년?오미 국사카모토 성 성주
1582년사이토 도시미쓰덴분 3년아케치 미쓰히데가로
1583년시바타 가쓰이에다이에이 2년무장
1583년오이치노카타덴분 16년?오다 노부나가의 여동생, 아사이 나가마사의 아내
1584년류조지 다카노부교로쿠 2년히젠 국의 센고쿠 다이묘
1585년다테 테루무네덴분 13년센고쿠 다이묘
1585년하시바 히데카쓰에이로쿠 11년오다 노부나가의 넷째 아들, 하시바 히데요시의 양자
1586년세이닌 친왕덴분 21년황족, 고요제이 천황의 아버지
1586년다키가와 가즈마스다이에이 5년오다 사천왕오다 오대장의 1인
1586년깃카와 모토하루교로쿠 3년모리 모토나리의 차남
1587년오토모 요시시게교로쿠 3년기리시탄 다이묘
1587년오무라 스미타다덴분 2년기리시탄 다이묘
1587년시마즈 이에히사덴분 16년시마즈 다카히사의 넷째 아들
1588년사사 나리마사덴분 5년무장
1589년가미이 가쿠켄덴분 14년시마즈 씨의 가신
1590년아사히히메덴분 12년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정실
1590년호리 히데마사덴분 22년무장
1590년호조 우지마사덴분 7년무장
1590년호조 우지테루덴분 9년무장
1590년가노 에이토쿠덴분 12년화가
1591년도요토미 히데나가덴분 9년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이복 동생
1591년센노 리큐다이에이 2년다인
1591년난조 모토쓰구?호키 국의 센고쿠 다이묘
1591년쓰루마쓰마루덴쇼 17년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장남
1591년구노헤 마사자네덴분 5년무장
1591년호조 우지나오에이로쿠 5년센고쿠 다이묘
1592년다이코노마에이쇼 10년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어머니
1592년도요토미 히데카쓰에이로쿠 12년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카
1592년겐뇨덴분 12년혼간지 제11대 문주


참조

[1] 서적 '"Tenshō"' https://books.google[...] Japan encyclopedia 2005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3] 서적 https://books.google[...]
[4] 서적 https://books.google[...]
[5] 서적 Studies in Shinto and Shrines 1962
[6] 서적 https://books.google[...]
[7] 서적 https://books.google[...]
[8] 서적 https://books.google[...]
[9] 서적 https://books.google[...]
[10] 문서 In the name "Keichō Embassy", the noun "Keichō" refers to the nengō (Japanese era name) after "Bunroku" and before "Genna." In other words, the Keichō Embassy commenced during Keichō, which was a time period spanning the years from 1596 through 1615.
[11] 웹사이트 Japan-Mexico Relations. http://www.mofa.go.j[...] Ministry of Foreign Affairs
[12] 서적 https://books.google[...]
[13] 서적 https://books.google[...]
[14] 서적 https://books.google[...]
[15] 서적 https://books.google[...]
[15] 서적 Kyoto: The Old Capital of Japan, 794–1869 1956
[16] 서적 https://books.google[...]
[17] Data Set Significant Earthquake Database https://www.ngdc.noa[...]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1972
[18] 서적 https://books.google[...]
[19] 서적 Korea: a Historical and Cultur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2003
[20] 서적 Diplomacy and Ideology https://books.google[...]
[21] 서적 戦国・織豊期の朝廷と公家社会 校倉書房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